전체 글 144

CS 공부 기록 - 자료구조 (1)

자료구조(data structure)는 효울적으로 데이터를 관리하고 수정, 삭제, 탐색,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집합을 말한다. 1. 선형 자료구조 (linear data structure) 연속적으로 데이터가 나열되는 자료구조를 나타낸다. 하나의 데이터 뒤에 다른 하나의 데이터가 연결되며, 대표적인 자료구조는 배열, 리스트, 스택, 큐 등이 있다. 배열(array) : 정해진 크기만큼 데이터가 일렬로 저장되는 정적(static) 자료구조이다. 각 데이터를 요소(element)라고 하며 번호를 인덱스(index)라고 한다. 연결 리스트(linked list) : 대표적인 선형 자료구조로, 크기가 정해져 있지 않은 동적(dynamic) 자료구조이다. 여러 개의 노드(node)로 구성되며, 노드는 데이터와 ..

CS 공부 기록 - 데이터베이스 (1)

1. 데이터베이스란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는 사용자나 프로그램에서 사용하기 위해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 집합이다. 다음과 같은 요소로 구성한다. Entity (개체, 엔티티) : 데이터로 표현하려는 대상을 의미, 하나 이상의 속성으로 구성한다. Attribute (속성) : 엔티티의 특성과 상태를 나타내며, DB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논리적 단위다. Relationship (관계) : 개체 간에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나타내며, 동사로 표현한다. 2. 스키마 데이터베이스의 전체적인 구조와 제약 조건을 명시하기 위해 스키마(schema)를 사용한다.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며, 데이터 구조와 표현 방식, 제약 조건을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 내부 스키마 : 사용자 측면에서..

CS 공부 기록 - 네트워크 (1)

네트워크란 컴퓨터 등이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연결하고, 구축하는 연결망을 말한다. 프로토콜(protocol)은 통신 규약이라고 하며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정한 규칙을 의미한다. 네트워크를 구축할 떄는 처리량과 지연시간을 고려해야 한다. 많은 처리량을 처리할 수 있으며 지연 시간이 짧고 장애 빈도가 적으며 좋은 보안을 갖춘 네트워크가 좋은 네트워크이다.처리량(throughput) : 링크를 통해 전달되는 단위 시간당 데이터양을 말한다. bps(bits per second) 초당 전송 또는 수신되는 비트수를 의미하며. 트래픽, 대역폭, 하드웨어 스펙등에 영향을 받는다.지연 시간(latency) : 요청이 처리되는 시간을 말하며 어떤 메시지가 두 장치 사이를 왕복하는 데 걸린 시간을 말한다.0. 네트워크 ..

JPA, Hibernate, Spring Data JPA란?

Spring Boot에서 SQL을 직접 사용하는 것은 단점이 존재한다. SQL을 작성하기 때문에 실수할 수 있고, 실수 인지 시점이 느리다. 컴파일 에러가 안나고, 런타임 오류가 나기 때문이다. 즉, 서버 동작에는 SQL문의 오타는 아무런 지장이 없기 떄문이다. 특정 데이터베이스에 종속적이게 된다. 반복작업이 많아진다.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과 객체는 패러다임이 다르다 ( 상속, 연관관계 등) =>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만든것이 JPA다. JPA? Java Persistence API의 약자로 자바 진영의 ORM이다. Persistence : 영속성, 서버가 재시작되어도 데이터는 영구적으로 저장되는 속성 (데이터베이스 등) ORM? Object-Relational Mapping, 즉 자바 클래스(객체)와 테..

CS 공부 기록 - 운영체제 (1)

1. 운영체제란? 하드웨어 위에 설치되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계층을 연결하는 소프트웨어 계층이다.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을 관리하고,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윈도우, 맥OS, 리눅스. 유닉스 등이 있다. 2. 운영체제의 목적 처리능력 향상 : 일정 시간 동안 시스템이 처리하는 일의 양 반환 시간 단축 : 요청한 작업을 완료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 사용 가능도 향상 : 시스템 자원을 얼마나 빨리 제공할 수 있는가 신뢰도 향상 : 주어진 문제를 정확하게 푸는지 → 이처럼 한정된 컴퓨터 자원을 관리하는 시스템이므로 성능을 평가하는데 위 4가지 기준이 사용된다. 3. 운영체제의 구조 GUI : 사용자가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한 형태 시스템콜 : 운영체제가 ..

스프링 컨테이너를 다루는 방법

스프린 컨테이너에 빈을 등록하는 방법, 가져오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빈을 등록하는 방법 @Service, @Repository, @Controller 말고도 다음 두개의 어노테이션을 활용해 스프링 빈으로 등록할 수 있다. @Configuration: 클래스에 붙이는 어노테이션으로, @Bean을 사용할 때 함께 사용해 주어야 한다. @Bean: 메소드에 붙이는 어노테이션, 메소드에서 반환되는 객체를 스프링 빈에 등록한다. 아래 예시 코드를 보자. @Repository public class UserRepository { } 원래는 위와 같이 @Repository 어노테이션을 통해 빈으로 등록한다. 허나 @Configuration public class UserConfiguration { @Bean pub..

스프링 빈과 스프링 컨테이너란?

간단한 코드를 하나 작성해 보겠다.@RestControllerpublic class Controller { private final Service service; public Controller(JdbcTemplate jdbcTemplate) { service = new Service(jdbcTemplate); }} Java에서는 static이 아닌 이상 인스턴스화 해줘야 하는데, 이 Controller 코드에는 인스턴스화가 없다.Controller를 생성하기 위해선 JdbcTemplate가 필요하다. 이를 JDBC 템플릿에 의존한다. 는 것인데, JdbcTemplate클래스를 설정해 준적이 없다.  스프링에서 위와 같은 설정을 해주는 것은 스프링 빈이다. @RestContr..

Spring Boot에서 Database 접근해서 사용하기

내가 아닌 스프링이 디비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보자. 스프링 서버가 디비에 접근하기 위해선, application.yml 파일이 있어줘야 한다. src/main/resources에 application.yml을 생성해주자. application.yml을 다음과 같이 작성한다. 이후, controller 코드를 다음과 같이 작성해준다. JdbcTemplate 클래스를 통해 MySQL에 SQL을 보낼 수 있다. sql을 parameterized query하여 보안성을 높이고, 확장성을 넓혀준다. 이러면, DB에 저장이 잘 됨을 확인할 수 있다.

SQL - DDL, DML 정리

DDL(Data Definition Language)은 데이터를 정의하기 위한 SQL이다. 데이터 베이스 만들기 create database [데이터베이스 이름]; 테이블을 담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만드는 것이다. 데이터베이스 목록보기 show databases; 데이터베이스 삭제하기 drop database library; 데이터베이스 안으로 들어가기 use [데이터베이스 이름]; 테이블 목록 보기 show tables 테이블 만들기 create table [ 테이블 이름 ] ( [필드1 이름] [타입] [부가조건], [필드2 이름] [타입] [부가조건], ... primary key ([필드이름]) ); ex) 과일 테이블의 ID, 이름, 가격, 출고일자 필드를 만들고자 할때, 이렇게 SQL 문을 작..

SpringBoot 환경에서 API 만들어보기 - GET, POST

스프링 부트에서 API를 개발하려고 하는 클래스에는 가장 위에 @RestController를 적어줘야 한다. @RestController에서 getter가 있는 객체를 반환하면 JSON으로 반환해준다. 이는 클래스를 api의 진입 지점으로 만드는 것이고, 이 클래스 안에 메소드에 접근할 수 있다. 1. GET API 만들기 아래는 간단한 덧셈을 하는 코드이다. @RestController public class CalculatorController { @GetMapping("/add") // GET /add public int addTwoNumbers(@RequestParam int number1, @RequestParam int number2){ return number1 + number2; } } @..